1. 프리티어 개념
1) 가입 이후 1년간 프리티어 계정으로 됨
2) 인스턴스 - t2.micro 1개만 운영해야됨.(eb create로 만들거나 웹사이트에서 만들 시 디폴트값으로 2개 인스턴스가 돌아가는데, 1개만 운영 해야함) 만약 2개가 돌아갈 시, EC2에서 인스턴스 종료.
3) RDS와 S3로 1년까지만 무료
2. EB 배포 방법
eb cli를 통해서 배포 하는 방법과, 웹사이트에서 배포하는 방법이 있다.
■ 공통
1) IAM 계정에서 계정 key값과 secret값이 있어야한다. 먼저 IAM을 생성하고 아래와 같이 진행한다.
사용자폴더/.aws/config 파일을 열어보면 (vsc통해서 열기 가능) 아래와 같은 값이 있을 것이다.
[profile eb-cli]
[profile deploy-eb]
[profile eb-deploy]
[default]
만약, IAM 계정을 바꾸고 싶다면 위 config파일에서 직접 수정 하면 된다.
■ eb cli 방법
- pip install awsebcli --upgrade --user 설치해주자 (파이썬 설치 및 환경변수(python, eb 모두 경로 지정해야함)
1) eb init
해당 값을 넣으면 아래와 같이 해당 프로젝트폴더에 파일이 생성된다.
codecommit은 n으로 사용
만약 init을 초기화 하고 싶다면 해당 폴더를 삭제하고 다시 eb init을 하면 된다.
2) eb create
환경을 생성한다. 개인적으로는 여기서 몇 몇 에러가 발생되서, eb init 진행 후, 웹사이트에서 환경을 매뉴얼로 생성해주었다. 참고로 애플리케이션이 폴더고 환경이 그 폴더안에 들어가는 파일이라고 보면 된다. 따라서 1개 어플리케이션에 여러개의 환경을 설정해줄 수 있다.
eb create또는 웹사이트에서 환경을 생성해주었다면, eb list를 입력해보면 해당 환경이 보일 것이다. 해당 환경에 최종적으로 배포해주자.
3) eb deploy
먼저 git remote -v를 해보면 해당 프로젝트에 어떤 git이 연결 되어있는지 알 수 있다. 만약 git이 연결이 안되어있다면
git init을 통해 먼저 연결해주자. 그리고 eb deploy를 입력하면 해당 git 파일들이 위에 설정한 eb 환경으로 전달 되는 개념이다
■ 웹사이트 방법
Elastic Beantalk에 접속 후, 환경 부분에서 생성해주면 된다. 이때 프리티어로 하기 위해서는 단일 인스턴스, 온디맨드 인스턴스로 설정해주고, 앞서 말한것과 같이 t2.micro 1개만 설정해주자. 여기서 환경을 설정 후, zip 파일을 올리면 배포가 끝난다. (위 eb deploy와 동일한 개념). 하지만 zip파일이 등록이 잘 안되는경우가 있으니, eb deploy로 하자. (개인적인 상황임)
■ EC2 개념
EC2에서 직접 서버를 열수도 있다. (하지만 어려워서 EB로 진행)
EB 서비스는 사용자가 쉽게 클라우드 서버를 설정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이다. EB에서 환경을 만들게 되면, EC2 화면에서 내가 운영중인 여러 서버 상황을 볼 수 있다.
■ 기타 비용 절약 방법
AWS budget를 주기적으로 활용해서 현재 비용이 어떻게 나가고 있는지 확인해주고, 해당 서비스에서 비용 얼마 이상이 되면 이메일을 발송하게끔 할 수 있다. 해당 설정을 꼭 하자.
'서버관련 > 아마존 서버 (배포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EC2 배포 방법 (1) | 2024.10.26 |
---|---|
아마존 S3 사용법 (0) | 2023.09.27 |
pgadmin4과 아마존 RDS 연동시키기 (2) | 2023.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