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먼저 아마존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해보자.
처음엔 프리티어로 생성 해야 한다. 생성 단계에서, 아래 마스터 사용자 이름과 마스터 암호는 추 후 pgadmin4 연동 시 필요한 정보다. 나머지는 기본 값대로 선택해주자.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해주면 아래와 같은 결과 값이 나오고, 해당 엔드포인트를 pgadmin4에 연결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내가 설정한 보안부분에 인바운드 규칙을 아래와 같이 추가해야 한다. (postgresql 5432포트가 접속 가능하게끔)
2. pgadmin4에서 아마존 RDS 연결해주기
서버 생성을 하게 되면, Host name/adress 부분에 아마존 엔드포인트를 넣고 Username부분에 아마존 마스터 사용자 이름을 넣으면 된다. 이렇게 되면 아마존 RDS의 데이터 pgadmin4로 연동이 된다.
3. prisma와 관계
prisma에서 migrate를 하면 바로 아마존 RDS에 업데이트가 된다. 그리고 그 업데이트된 아마존 RDS의 값을 pgadmin4로 보는 개념이다.
4. pgadmin4 데이터 백업
만약에 데이터 백업 및 복구를 해야 한다면 아래 내용 참조
1) https://baekh-93.tistory.com/26
[PostgreSQL] pgAdmin4을 이용한 DataBase 백업 및 복구하기(DB dump, DB백업,pgAdmin)
PostgreSQL 을 백업하는 방법에는 두가지방법이 있다. 첫번째: pgAdmin을 이용하는 방법 (tool) 두번째: cmd창에서 처리하는 방법 오늘은 먼저 pgAdmin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다뤄볼 것이다(더 쉬움!, cmd
baekh-93.tistory.com
2) 기존 데이터베이스 값을 다른 host name/address로 이동 시키려면? (아마존 RDS 변경 시,,?)
- 이게 되는지는 나도 테스트를 안해봤다. 되는지는 모르겠지만, 기존 host name/address 주소를 변경된 엔드포인트로 수정만 해주면 기존 db값들이 변경된 RDS 주소로 자동으로 업데이트되지 않을까..?
5. 백엔드 파일 .env 작성 관련
prisma migrate를 위해, .env파일에 아래와 같이 설정을 해주게 되는데 작성방법은 아래와 같다. 여기서 마지막 db명은 prisma4에서 서버 생성 -> db 생성에 들어가는 db명이다. (prisma4에서 서버생성 후 db를 생성해주어야한다.)
아마존 RDS 데이터 베이스 생성은 큰 틀이고, 여기서 세부적으로 prisma4에서 db를 만들어주는 개념인듯 하다.
'서버관련 > 아마존 서버 (배포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EC2 배포 방법 (1) | 2024.10.26 |
---|---|
아마존 S3 사용법 (0) | 2023.09.27 |
아마존 서버 프리티어 개념, elastic beanstalk 배포 방법 (0) | 2023.09.26 |